안녕하세요, 돈공이입니다 😊
오늘은 최근 뉴스와 사회 이슈에서 자주 등장하는 세 가지 경제 키워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로 스니크 플레이션, 노란봉투법, 돌 이코노미인데요.
각각 생활물가, 노동법,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어들이라 꼭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목차
- 스니크 플레이션
- 노란봉투법
- 돌 이코노미
1. 스니크 플레이션 (Sneakflation)
- 뜻 : 기업이 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이나 구성품을 줄여 사실상 가격 인상을 하는 현상.
- 사례 : 과자 봉지는 동일하지만 개수가 줄어든 경우, 커피 사이즈는 같아 보이지만 원두 양을 줄이는 경우.
- 문제점
- 소비자는 체감 물가 상승을 느끼지만 통계상 물가에는 잘 반영되지 않음.
- 장기적으로 브랜드 불신을 초래.
- 경제적 시사점 : 소비자는 가성비 브랜드·PB상품으로 이동 가능, 기업의 가격 전략이 충성도와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2. 노란봉투법
- 정의 : 합법적인 파업을 했을 때 기업이 과도한 손해배상이나 가압류를 청구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법안.
정식 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2·3조 개정안. - 배경 : 과거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이 거액 손배소를 당해 파산하거나 가정이 무너지는 사례 발생 → 시민들이 노란 봉투 성금 운동 전개 → 법안 명칭으로 이어짐.
- 장점 (찬성 측)
- 노동자의 기본권 보장 → 합법적 파업에 따른 불이익 감소.
- 노사 간 힘의 균형 회복.
- 무분별한 손배소 남발 방지 → 사회적 갈등 완화.
- 단점 (반대 측)
- 기업 활동 위축 우려 → 장기 파업 시 손실 방어 수단 축소.
- 법 적용 불명확성 → ‘합법적 쟁의행위’ 해석을 두고 분쟁 가능.
- 산업 경쟁력 저하 우려 → 해외 기업 대비 불리한 환경.
- 현재 상황 : 2025년 8월 24일 국회 통과로 법제화 확정. 다만 시행 과정에서는 여전히 해석·적용 논란이 남아 있음.
3. 돌 이코노미 (Doll Economy)
- 뜻 : 인형이 단순한 장난감이 아닌 투자, 취미, 치유 수단으로 소비되는 현상.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
- 특징
- 한정판 인형은 중고 거래에서 리셀 시세차익 발생 → 투자자산화.
- ‘인형 카페’, ‘돌 사진관’ 등 공간 소비 확대.
- 인형을 돌보며 받는 심리적 위로.
- 중국 라부부(LaBubu) 사례
- 중국 팝마트(Pop Mart)가 만든 인형 ‘라부부(辣布布)’는 돌 이코노미의 대표적 성공 사례.
- 신제품은 매번 완판, 일부 한정판은 리셀가가 정가의 수십 배.
- 블라인드 박스(랜덤 뽑기) 문화와 결합 → 글로벌 소비 트렌드 확산.
- 한국적 연결 : 카카오프렌즈, 뽀로로, 아이돌 인형 굿즈 등 → 굿즈·전시·중고거래 플랫폼 산업 성장 가능성.
마무리
오늘은 스니크 플레이션, 노란봉투법, 돌 이코노미 세 가지 키워드를 살펴봤습니다.
- 스니크 플레이션은 숨은 인플레이션으로 생활 물가에 영향을 주고,
-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기본권과 기업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지점,
- 돌 이코노미는 새로운 세대 소비와 글로벌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이 블로그는 경제·사회 흐름 이해를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사실이나 수치에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반응형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 트렌드] 디지털 유산 관리자 (7) | 2025.08.31 |
---|---|
[데일리 트렌드] 스테이블 코인, 써클, 그리고 CBDC (1) | 2025.08.29 |
[데일리 트렌드] 앵커링, 마진대출, 마진콜, PFOF (6) | 2025.08.26 |
[데일리 트렌드] UBI·그리드플레이션·리쇼어링 (0) | 2025.08.25 |
김치 프리미엄 총정리! 비트코인, 금값 왜 한국이 더 비쌀까? (1)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