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데일리 트렌드] UBI·그리드플레이션·리쇼어링

by 돈공이 2025. 8. 25.

안녕하세요, 돈을 공부하는 돈공이입니다.

 

최근 경제 뉴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신조어를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오늘은 UBI(기본소득), 그리드플레이션, 리쇼어링을 다룹니다. 세 용어는 정책 변화, 기업 전략, 투자 환경까지 직결됩니다.


01UBI (Universal Basic Income, 기본소득)

UBI는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소득, 직업, 자산과 무관하게 조건 없이 일정 금액을 정기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보편적 복지의 성격으로, 기존 복지제도의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습니다.

 

등장 배경

  • AI·자동화 확산으로 인한 고용 불안
  • 소득 양극화 심화와 사회적 불평등
  • 복잡한 복지제도의 누락·중복 문제

사례

  • 핀란드(2017~2018): 매월 560유로 지급 실험 → 행복감 증대, 취업률 개선은 제한적
  • 미국: 일부 지역에서 저소득층 대상 시범 시행
  • 한국: 성남시·경기도의 청년 기본소득

시사점

  • 장점: 소득 안전망 강화, 소비 진작 효과
  • 단점: 재원 부담, 근로 의욕 저하 논란
  • 투자 관점: 소비재·유통 업종 수요 확대 가능성

02그리드플레이션 (Greedflation)

기업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빌미로 실제보다 큰 폭으로 가격을 인상해 초과 이익을 얻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기업의 가격 결정력이 물가를 자극한다는 관점입니다.

 

등장 배경

  •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붕괴, 원자재 가격 상승
  • 가격 인상폭이 원가 상승률을 초과하며 이익률 개선

사례

  • 미국·유럽 식품/생필품 업체: 원가 5% 상승에도 판매가는 15% 인상
  • 정책 논의: 과도한 가격 인상 규제(일명 탐욕 인플레이션세) 검토

시사점

  • 소비자: 체감 물가 상승으로 생활 부담 확대
  • 기업: 단기 실적 호조 가능
  • 정책: 중장기적으로 규제 강화 리스크
  • 투자 관점: 필수소비재·에너지 업종은 실적과 규제 리스크를 함께 점검

03리쇼어링 (Reshoring)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기지·제조업 기반을 자국으로 복귀시키는 정책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지정학 리스크 대응 차원에서 주요국이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등장 배경

  • 미·중 갈등 심화에 따른 중국 의존도 축소
  • 팬데믹으로 드러난 공급망 불안
  • 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의 산업/국가 안보 중요성 확대

사례

  • 미국: CHIPS Act(반도체 지원법) → 인텔, TSMC, 삼성전자의 미국 내 대규모 투자
  • 일본: 리쇼어링 기업에 보조금 지원
  • 유럽: 배터리·반도체 산업 공동 투자 프로젝트 추진

시사점

  • 긍정: 자국 내 일자리 창출, 전략 산업 보호
  • 부정: 인건비 상승, 생산 효율 저하, 제품 가격 인상 가능
  • 투자 관점: 반도체·배터리·첨단 제조업의 장기 성장 기회 확대

이 용어들은 단순히 경제 뉴스를 장식하는 단어가 아니라, 정책 방향, 기업 전략, 투자 환경까지 아우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앞으로 뉴스를 읽을 때,

  • UBI는 복지·소득 분배 논의와,
  • 그리드플레이션은 기업 실적과 물가 흐름과,
  • 리쇼어링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산업 정책과

연결해 보시면 경제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