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해외주식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비용 총정리

by 돈공이 2025. 8. 15.

거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수수료와 세금


해외주식에 투자할 때는 거래수수료·환전수수료·세금까지 함께 고려해야 실제 수익률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투자 방식별(해외주식 직접투자 / 국내상장 해외주식 ETF / 해외 ETF) 비용 정리입니다.

 

📑 목차 (클릭하여 접기/펼치기)

1) 해외주식 직접투자

해외 거래소(미국·유럽·중국 등)에 상장된 개별 종목을 증권사를 통해 직접 매매.

💰 주요 비용 항목

구분 내용 참고
거래수수료 증권사별 약 0.08~0.25% (매수·매도 각각) 프로모션/우대 시 인하
환전수수료 원화→외화 환전 스프레드(통상 1~2% 범위) 환전우대 90~100% 활용
해외거래세 없음 국내 주식과 다름
배당소득세 현지 원천징수(미국 15% 등) + 국내 종합과세 가능 연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양도소득세 연 250만원 공제 후 22%(지방세 포함) 다음해 5월 신고·납부

 

📌 간단 예시
미국 주식 10,000달러 매수 후 2,000달러 이익 → 양도세 (2,000-250)×22% = 385달러.
배당 100달러 수령 시 미국 원천징수 15달러 + 국내 과세 여부는 합산 소득에 따라 달라짐.

2) 국내상장 해외주식 ETF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해외지수·테마 추종 ETF를 원화로 매매.

💰 주요 비용 항목

구분 내용 참고
거래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와 동일(약 0.015~0.05%) 증권사 이벤트 적용
환전수수료 없음(원화 거래) 환전은 운용사 내부 처리
증권거래세 주식형 0.23%, 채권형 0% 과세 대상/비율은 유형에 따라 상이
배당(분배금) 과세 원천징수 15.4% 금융소득 종합과세 포함
양도소득세 매매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아닌
배당소득세(원천징수 15.4%)부과 
금융소득 종합과세 포함
운용보수 연 0.1~0.6% 수준 간접비용, 운용사 공시 확인

 

📌 특징

  • 원화로 간편 매매·신고 부담 낮음. 다만 ETF 내 환헤지 유무, 추적오차, 총보수(TER) 체크 필수.
  • 매매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아닌 배당소득세 부과

3) 해외 ETF(해외거래소 상장)

미국·유럽 등 해외 거래소에 직접 상장된 ETF(SPY, QQQ, VTI 등)에 투자.

💰 주요 비용 항목

구분 내용 참고
거래수수료 약 0.08~0.25% (매수·매도 각각) 해외주식 직접투자와 유사
환전수수료 원화↔외화 환전 스프레드 우대율 적용 가능
배당소득세 미국 상장 ETF 기준 15% 원천징수 + 국내 종합과세 가능 월/분기 배당 일정 확인
양도소득세 연 250만원 공제 후 22% 다음해 5월 신고
운용보수(TER) 대체로 저비용(약 0.03~0.75%) 펀드 문서 확인

 

📌 특징
전세계 다양한 저비용 ETF 접근 가능. 누적형(배당 재투자)·분배형 중 과세 효율 고려해 선택.

4) 비교 요약표

구분 거래수수료 환전수수료 거래세 배당 과세 양도소득세 특징
해외주식 직접투자 0.08~0.25% 있음 없음 현지 원천+국내 합산 연 250만 공제 후 22% 종목 선택 자유·신고 필요
국내상장 해외주식 ETF 0.015~0.05% 없음 주식형 0.23% 15.4% 원천징수 15.4% 원천징수 원화 간편·운용보수 존재
해외 ETF 0.08~0.25% 있음 없음 현지 원천+국내 합산 연 250만 공제 후 22% 저비용 상품 다수·신고 필요

참고·주의사항

  • 수수료·세율은 증권사/상품/연도별로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공시를 확인하세요.
  • 환율 변동은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줍니다(환헤지 유무 확인).
  • 금융소득종합과세: 이자+배당 연 2,000만원 초과 시 누진세율 적용 가능.
  • 양도세 신고: 해외주식/해외 ETF는 다음해 5월 확정신고 필요(기본공제 250만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