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상식

사회초년생을 위한 4대 보험 쉽게 이해하기

by 돈공이 2025. 4. 16.

“월급은 받았는데 생각보다 적네요...” 첫 출근 후 받은 월급명세서를 보고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 이유는 대부분 ‘4대 보험’이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 사회에 나와 일을 시작하는 사회초년생에게 4대 보험은 낯설지만 꼭 알아야 할 돈의 기초 지식이에요.

 

오늘은 돈공이와 함께 4대 보험이란 무엇인지, 왜 필요하고, 어떻게 관리하면 좋은지 쉽고 현실적으로 정리해볼게요 💼

✅ 4대 보험이란?

‘4대 보험’은 근로자가 일하면서 **사회적 위험(실직, 질병, 노후 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국가가 운영하는 의무적 사회보장제도예요.

📌 구성 항목

  1. 국민연금 - 내 노후를 위한 강제 저축
  2. 건강보험 - 병원비 걱정 줄여주는 필수 보험
  3. 고용보험 - 실직해도 최소한의 안전망
  4. 산재보험 - 업무 중 다쳤을 때 보상

👉 대부분 직장인은 의무 가입이며, 급여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갑니다.

💰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60세 이후의 노후 생활비를 대비하기 위한 제도예요. 내가 낸 만큼 + 회사도 같은 금액을 함께 부담합니다.

  • 📌 월급의 9% → 근로자 4.5%, 회사 4.5% 부담
  • 📌 10년 이상 납입 시 → 60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

👉 장기적 관점에서 ‘국민연금은 수익률 좋은 노후 자산’이라고 볼 수도 있어요.

 

🩺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병원 진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보장 제도예요. 진료, 약값, 수술비 등을 일부 국가가 지원합니다.

  • 📌 월급의 약 7.09% (근로자 3.545%, 회사 3.545%)
  • 📌 건강보험료에는 장기요양보험료도 포함됨 (노인복지 관련)

👉 국민 대부분이 평생 이용하게 될 중요한 사회보장 장치입니다.

 

💼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회사에서 퇴사했을 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 📌 월급의 1.8% → 근로자 0.9%, 회사 0.9%
  • 📌 실업급여 수령 조건:
    • 180일 이상 근무
    •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 계약 만료 등)

👉 사회초년생일수록 퇴사 시 이 제도를 제대로 알고 챙기는 게 중요합니다.

 

⚠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업무 중 발생한 사고나 질병을 보상해주는 제도예요.

  • 📌 전액 회사 부담 (근로자는 0원)
  • 📌 업무상 사고, 질병, 출퇴근 중 사고 등 포함

👉 만약 회사에서 다쳤다면 병원비, 휴업급여 등 **정당한 보상 청구 가능**합니다.

 

📌 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4대 보험, 너무 많다고 느껴진다면?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세금 너무 많이 뗀다” 느끼지만, 4대 보험은 일종의 강제 저축 + 안전망입니다.

✔ 국민연금 → 노후 대비 ✔ 건강보험 → 병원비 절감 ✔ 고용보험 → 실직 시 지원 ✔ 산재보험 → 사고 시 보상

👉 눈앞에선 손해 같아도,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자산 관리’를 위한 필수 기반이에요.

 

✍️ 마무리하며

📌 4대 보험은 ‘세금’이 아니라 내 미래를 위한 최소한의 보장 시스템입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게 세상이고, 제도는 아는 사람에게 더 유리하게 작동합니다.

돈공이는 ‘돈을 버는 방법’만큼 ‘돈을 지키는 방법’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