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버는 만큼이 아니라, 지키는 만큼 남는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많은 사람들이 수익률, 투자 종목은 따지지만 세금은 ‘어차피 내는 거지’ 하고 넘깁니다.
하지만 진짜 돈공이는 세금도 전략적으로 다루는 사람입니다 💡
오늘은 재테크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세금 개념 5가지를 쉽고 현실적으로 정리해볼게요.
✅ 1. 세금의 시작은 ‘근로소득세’
직장인이 받는 월급에는 이미 세금이 포함되어 빠져나가고 있어요. 그중 핵심이 바로 근로소득세입니다.
📌 구성 항목:
- 📎 소득세: 월급에 따른 누진세율 적용
-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추가 부담
- 📎 4대 보험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내가 월급에서 실제 받는 ‘실수령액’은 세금과 보험료를 뺀 금액**입니다.
✅ 2. 금융소득도 세금 낸다 – 이자·배당소득세
예금, 적금, 펀드, 주식 배당금… ‘돈이 불어난다 = 금융소득이 생긴다’는 뜻이에요.
그리고 그 순간, 세금도 따라옵니다.
📌 대표적인 금융소득 세금
- 💰 예금/적금 이자: 15.4% (소득세 14% + 지방세 1.4%)
- 💵 주식 배당금: 15.4% (자동 원천징수)
👉 이자나 배당금을 받기 전 이미 세금이 떼어져 있어요.
✅ 3. 연 2,000만 원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기서 주의할 점!
예금, 펀드, 배당 등 금융소득이 연간 2천만 원을 넘으면 별도로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 이런 경우엔?
- 📈 추가 세금 신고 필요
- 📉 종합소득에 따라 최대 49.5%까지 과세
👉 고액 자산가가 세금으로 수익이 줄어드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 4. 절세를 위한 대표 상품 – 연금저축 & IRP
‘어차피 세금 내는 거면 돌려받자!’는 전략, 가능합니다 💡
바로 세액공제 상품을 활용하는 거죠.
📌 대표 절세 상품:
- 🏦 연금저축: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13.2%~16.5% 환급)
- 🏦 IRP (개인형 퇴직연금): 연금저축과 합쳐 총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 연말정산 때 세금 돌려받고, 노후 자산도 쌓이는 일석이조 전략
✅ 5. ‘절세’와 ‘탈세’는 완전히 다르다
💬 “세금 덜 내고 싶은데요…” → 완벽한 동기입니다. 단, 방법이 합법적이어야 하죠.
📌 정리해보면:
- ✅ 절세: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세금 부담을 줄이는 것
- ❌ 탈세: 숨기거나 거짓으로 신고하는 것 (벌금·형사처벌 가능)
👉 돈공이는 ‘절세’에 집중하는 사람입니다. 정부가 정한 틀 안에서 **똑똑하게 설계하는 것**이 전략이에요.
✍️ 마무리하며
📌 재테크는 단순히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세금까지 고려한 ‘실수익률’을 챙기는 과정입니다.
💬 오늘부터는 수익이 생기면 이렇게 질문해보세요:
- 이 수익에 세금은 얼마 붙을까?
- 절세할 수 있는 구조는 없을까?
- 내 월급은 어디에 얼마가 세금으로 빠지고 있지?
세금도 돈공이의 전략 영역입니다 💼 ‘돈을 벌기 전에, 지키는 법부터’ 기억하세요!
---
📎 함께 보면 좋은 글
'경제 기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시작 전 알아야 할 금융 용어 10가지 (3) | 2025.04.09 |
---|---|
돈이란 무엇인가? (1) | 2025.04.08 |
‘돈의 시간 가치’ 개념을 모르면 손해 본다 (0) | 2025.04.04 |
금리 인상기 vs 금리 인하기 – 소비자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4) | 2025.04.03 |
환율이 오르면 물가는 왜 오를까? – 초보자도 이해하는 경제 원리 (2) | 2025.04.02 |